★지방쓰는 법 신주의 체제에 유사하게 제작하는 것이 좋다. 부득이한 경우에는 적당한 필기구를 이용하여 한글로 작성하여도 무방하다. 한 장의 지방에 한 분의 신위만을 쓸 때는 중앙에, 한 장에두 분의 신위를 모실 때에는 좌고우비(고서비동) 즉, 고위(돌아가신 부친)는왼쪽에, 비위(돌아가신 모친)는 오른쪽에 쓴다. 과거를 준비 중인 사람들을지칭하던 용어이다. 그 부인은 ‘孺人’대신에 貞敬婦人을 쓴다. 오늘날에도 남편의 관직 급수에 해당하는 부인의 벼슬 관작을 사용하는 것은 예법에 맞지 않는다. 삼취(三娶)했을 경우 두 분 이상일 수 있기에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자식의 제사는손자가 있어도 아버지가 제사장이 되는 것이 기본이다. 오른쪽에 재취비의 지방을 붙인다. | ||||||||||||||||||||||||||||||||||||||||
★지방(紙榜)이란? 지방은 제사대상자를 상징하는 신물(神物)로 신주 대신으로 사용하며 제사 직전에 작성하여 모셨다가 제사를 마치면 불태운다. ★지방 한자의 의미 ●현(顯):돌아가신분의 경칭 ●고(考):살아계신 아버지는 부(父), 돌아가신 아버지는 考라고 한다. ●妣 :살아계신 어머니는 母 . 돌아가신 어머니는 妣 라고 한다. ●학생(學生):벼슬하지 않은 일반인은 學生 . 벼슬한 경우는 그 관직명을 쓴다. ●유인(孺人):부인.아내를 뜻한다. ●부군(府君):돌아가신 아버지나 조상의 존칭이다. ●신위(神位):신을 모시는 자리를 말한다. *밑에 공백을 두고 띄웠기를 하되 글자를 아래로 정열한다. *지방은 제사를 모시는 고인의 혼이 깃든 神物을 말합니다. 신위는 신주가 없을 때 지방으로 대신하는데 한자에 먹으로 써서 교의 또는 제상 정후면 병풍에 붙이기도 하고 적당한 크기의 위패 함을 제작하여 그 안에 붙입니다.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지방쓰는법 & 지방 접는법 상세 알아보기 (0) | 2012.09.29 |
---|---|
[스크랩] 제사 지방 쓰는 법 (0) | 2012.09.27 |
대만여행자료 (0) | 2012.09.12 |
생활의 지혜 (0) | 2012.05.17 |
[스크랩] 나의 토지 및 주택 부동산 공시가격 검색하기 (0) | 2012.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