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AC 서보모터개요 2.1.1 토오크의 발생원리 AC 서보모터는 모터 단체로서 본다면, 어디까지나 AC 모터이다. 그러나, 전용제어 장치와 조합시키면 제어성이 우수한 DC 서보모터와 동등 이상의 성능을 내는 모터가 된다. DC 서보모터의 회전속도를 바꾸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전기자에 인가하는 전압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취한다. 전기자 전압은 회전속도와 거의 비례 관계가 있고, 전압을 내리면, 어느 정도 속도를 내릴 수 있다. 한편, AC 모터는 일반적으로 주파수를 변화시켜 회전 속도를 바꾸는데, 이 주파수에는 자연히 한계가 있다. 간단한 인버터를 사용한 정도면 서보모터의 특징인 넓은 변속 범위를 얻을 수 없다. 그러면, 어떤 형태로 하여 AC 모터에 우수한 제어성을 줄 수 있는지 DC 모터의 원리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1) DC 모터의 원리 그림 2.1.1은 DC 모터의 원리를 간단하게 나타낸 것이다. 그림 2.1.1 DC 모터의 기본원리 영구자석 N, S에 의해 자계가 형성되고, 브러시와 정류자를 통한 전류가 도체내를 흐르면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라, 그림에서는 화살표 방향으로 토오크가 발생한다. 회전자가 회전하여 약 90도 회전하면 정류자에 의해 전류방향이 뒤바뀌어 회전을 계속할 수 있다. 이 일련의 동작을 잘 생각해 보자 그림의 상태에서 통전하여 회전을 시작하면 토오크는 점점 감소하고 90도의 위치에서 0 이된다. 본래, 여기에서 정지하는 것인데 실제는 회전자의 관성때문에 조금 더 회전하여 90도를 약간 넘은 곳에서 전류의 흐름이 뒤바뀌게 되고 토오크는 점점 증가하기 시작한다. 그림의 모터는 특히 토오크 변동이 큰 모터이다. 그러나, 실제의 모터는 정류자가 수 십개 있어, 회전자가 약간 돌면 전류의 방향이 뒤바뀌게 되어 항상 최대 토오크인 곳에서 사용되는 형태로 설계되어 있다. 이와같이, DC 모터의 구조는 자력선과 전류의 방향이 항상 직각으로 교차하는 모양으로 되어 있어, 전류에 비례한 안정된 토오크를 항상 얻을 수 있다. 그렇지만, 이를 위해서는 정류장치(브러시, 정류자)가 반드시 필요하다. (2) AC 모터의 원리 그림 2.1.2는 AC 모터의 정류자를 슬림링으로 바꾼 것이다. 지금, 브러시 A가(+), 브러시 B가(-)로 되는 모양으로 통전하면 DC 모터와 같은 모양의 토오크가 발생하여 모터가 회전한다. 그러나 정류자가 없기 때문에 정지하여 버리므로, 적당한 시기에 전류 방향을 바꿔 줄 필요가 있다. 역으로 생각하면, 전원을 교류로 하면, 그 주파수에 맞는 회전속도로 계속 돌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원 주파수에 동기시켜 모터를 돌리는 것이 교류 모터이고, 회전자의 위치에 의해 전원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것이 브러시리스 모터이다. 그림 2.1.2 AC 모터의 기본원리(1) - 회전 전기자형 그림2.1.2에서는 DC 모터와 비교하기 쉬운 형태로 브러시와 슬립링을 설치했는데, 같은 원리를 그림 2.1.3의 형태로 나타내면 브러시를 생략할 수 있다. 그림2.1.2를 회전 전기자형, 그림2.1.3을 회전 계자형 이라 부른다. 브러시리스 서보모터의 경우는 회전 계자형을 사용한다. 그림 2.1.3 AC 모터의 기본원리(2) - 회전계자형 (3) AC 모터(브러시리스 서보모터)의 원리 브러시리스 모터는 DC 모터가 가진 정류장치를 모터에서 떼어내고, 대신에 전원을 제어 하여 회전자 위치에 맞는 전류를 흘리는 장치 즉, 드라이버에 의해 구동된다. DC 모터는 정류자의 갯수를 늘림으로써 토오크 리플을 적게할 수 있는데, 브러시리스 모터에서는 모터를 3상 권선으로 하고, 각 상의 전류를 구형파 혹은 정현파의 교번 전류를 흘려 구동하다. 그림 2.1.4의 (a),(b)는 3상 브러시리스 모터의 횡단면도 이고, U+,U-,V+,V-,W+,W-는 각 권선의 시작과 끝이다. 그림 2.1.4 회전자계의 원리 모터에 그림 2.1.4(c)와 같은 3상 교류(정현파)가 통전되고 있을 때, 시각 A점에 있어서 모터의 상태를 보면, U상만이 정(+)이고 V상과 W상 모두 부(-)이다. 그러므로 각 권선의 전류 방향은 그림 2.1.4(a)와 같이 되고 전류에 의해 유기된 자속의 합성벡터는 N에서 S로 향하는 방향으로 발생한다. 이때 자속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위치에 회전자의 자계가 있다고 하면 자석 끼리의 반발력과 흡인력에 의해 회전자를 시계 방향으로 돌리는 토오크가 발생한다. 또 시각 B점에 대해서도 같은 모양으로 검토해 보면, 권선에 의한 자속은 그림 2.1.4(b)와 같이 회전방향에 60도 어긋난 위치에 발생한다. 이와 같이 고정자 권선에 3상 교류(정현파 혹은 구형파)전류를 흘리므로써 연속적인 회전자계를 얻을 수 있다. 이 구동전류 위상을 회전자의 회전각에 대하여 항상 직교하는 형태로 맞출 수 있다면 매끄러운 토오크를 내면서 효율이 좋은 모터를 브러시리스로 구성할 수가 있다. 2.1.2 회전자 위치 검출 회로 AC 서보모터에서도 DC 서보모터와 같이 전류의 방향과 자속의 방향을 직교시키기 위해서는 자석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림 2.1.5에는 종래의 인크리멘탈 인코더의 내주부에 자극 위치를 센싱할 수 있는 전용 슬릿이 추가된 인크리멘탈 인코더를 보인다. 자극 검출신호 U,V,W 채널 신호는 AC 서보모터의 극수에 맞춰 각 전기각으로 120도 어긋난 위상차를 갖고 있다. 따라서 검출신호수는 종래의 A,B,Z 채널 외에 U,V,W 채널이 합해져서 6신호가 된다. 이것을 장거리 전송이 가능하도록 라인 드라이버로 출력한다. 그림 2.1.5 AC 서보모터용 옵티컬 인코더의 출력파형 2.1.3 구동 시스템 이 모터의 동작원리는 앞 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DC 모터의 정류자 기능을 홀센서(Hall Sensor)와 반도체 전력 변환기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발생 토오크는 전류와 자속의 곱에 비례하기 때문에 직류기와 동일하게 직교하고 있다. 다음 그림은 구동시스템의 전체 구성등 나타내었다. 그림 2.1.6 AC 서보모터 구동시스템의 구성 전류지령을 위한 회전자 위치 검출기와 속도 검출기가 모터 축에 커플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림 2.1.7에 전류제어 트랜지스터 PWM 인버터의 주회로를 나타낸다. PWM 인버터는 상전류를 피드백하기 때문에 PWM에 의해 모터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토오크리플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피크전류도 작게 할 수 있다. 그림 2.1.7 전류제어형 트랜지스터 PWM 인버터의 주회로 그림 2.1.8에서는 AC서보모터 구동 시스템의 제어 블럭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회전자의 각위치 검출기로 부터의 신호에 의해 3상의 교류전류(정현파 혹은 구형파)를 발생시키고 그것에 전류 지령치가 곱해져 피드백된 3상 전류와 각각 비교한다. 만일 모터 전류가 지령치에 비해 크게 되면 인버터는 전류를 작게하는 방향으로 스위칭 하고, 반대로 모터전류가 지령치에 비해 크게되면, 인버터는 전류를 크게하는 방향으로 스위칭 하게된다. 속도 신호는 각도 신호의 예측을 위해 피드백 되어, 계의 시간 지연을 작게하고 있다. 그림 2.1.8 AC 서보모터 구동 시스템 제어 블럭도 2.2.AC 서보모터의구조 2.2.1 AC 서보모터의 구조 AC 서보모터의 구조를 그림 2.2.1에 나타내었다. 자속을 만들어 내기 위한 영구자석이 회전자에 부착된 회전계자형이고, 권선은 고정자측에 설치된 정지 전 기자 구조이다. 결국 DC 서보모터와 비교해 보면 회전자와 고정자의 전기적 역할이 역으로 되어있다. 그림 2.2.1 AC 서보모터의 구조 2.2.2 AC 서보모터의 구조상 특징. 서보모터에서는 급가감속을 행하기 위해, 최대 토오크는 정격 토오크에 대하여 수배 크게하지 않으면 안되는데, DC 서보모터에 있어서는 가감속 영역이라 불리우는 정류한계가 있고, 이것을 넘어서 사용하면 Flash over현상(정류자 불꽃이 갑자기 광대해 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더구나 이 정류한계는 회전속도가 커지면 현저하게 저하한다. 그러나, AC 서보모터에 있어서는 정류한계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고속 회전 영역까지 최대 토오크를 저감하지 않고 운전할 수 있다. 그림 2.2.2 는 서보모터의 동작 특성 비교를 나타낸 것이다. 또, AC서보모터에 있어서는 영구자석 이 회전축상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부분에서는 발열이 없고 모터의 발열은 고정자측의 전기자에서만 발생한다. 그림 2.2.2 서보모터 동작 특성도 고정자측의 전기자에서 발생한 열은 프레임을 통하여 대기중에 발산하므로, 발열부가 회전자에 있는 DC 서보모터에 비하여 냉각이 용이하다. 또한, 발열부의 온도검출이 직접 가능하기 때문에 과부하에 대해 보호가 확실한 조치를 취할 수있다. 2.2.3 AC 서보모터의 구성 요소. AC 서보모터는 회전자, 고정자, 센서 및 이것을 지탱하는 프레임, 베어링, 커플링으로 구성되고 용도에 따라서 브레이크를 내장한 것도 보인다. 이하 요소별로 서술한다. (1) 회전자 회전자는 회전축에 영구자석이 고정된 회전 계자형 구조이다. 계자극의 형상은 원통형(링형)과 원호형(C형)의 두종류가 있다. 그림 2.2.3의 (a)는 원통형 영구자석을 계자극으로 한 모터의 횡단면도를 나타내고, (b)는 원호형 영구자석을 계자극으로한 모터의 횡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2) 고정자 고정자는 전기자 철심과 전기자 권선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림 2.2.3 AC 서보모터 회전자 자석의 형상 전기자 철심은 0.34 ~ 0.5mm 두께의 규소강판을 쌓아 두껍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권선을 하기 위한 슬롯의 영향 때문에 공극에서의 자속밀도가 균일하지 않고 토오크가 맥동하여 회전변동이 일어난다. 이같은 토오크 리플을 저감하기 위하여 전기자 철심에 슬롯을 많이 내거나, 스큐(Skew)를 한다. 또, 서보모터의 철심은 전기자 전류의 영향을 받아서 진동하기 때문에 이 주파수가 가청주파수역에들 경우는 소음이 난다. (3) 센서 AC 서보모터의 센서는 모터의 위치 검출과 회전속도 검출의 2가지 기능이 필요하게 된다. 센서로서는 인코더와 리졸버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상세한 내용은 2.3절에서 서술한다. (4) 브레이크 서보모터의 사용조건에 따라서 브레이크 내장형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브레이크는 모터의 박형화를 도모하기 위해 편평형 전자 브레이크가 주로 사용된다. 브레이크의 동작은 역작동 방식의 홀딩 브레이크이다. 그림 2.2.4에 그 구조예를 보인다. 그림 2.2.4 브레이크가 부착된 AC 서보모터 (5) 프레임 프레임은 고정자를 고정하는 기능만 하는 것이 아니고, 요크로써 자로의 일부가 되기도 하고 동손 및 철손에 의한 열의 방열 통로의 기능을 한다. 따라서 열발산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열전도율이 좋은 재질을 사용하여야 한다. 특히 프레임 외면에 방열판을 많이 두기도 한다. (6) 베어링 베어링은 기계적 손실이 작은 볼 베어링이 주로 사용한다. 반복적인 급가감속운동과 회전축의 열팽창을 십분 고려하여 탈조 방지를 충분히 고려하여 설계되었다. 물과 절삭유가 쓰이는 환경하에서 사용 할 때는 모터 축 사이로 물과 기름의 침입을 방지하기위해 오일씰을 붙이는 경우도 있다. 2.2.4 영구자석의 종류와 특징. 기계적 시정수가 작고 응답성이 좋은 서보모터에는 고성능 자석이 사용된다. 그러나 모든 서보 모터에 고응답성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부하의 관성 모멘트가 큰 경우에는 회전자 관성 모멘트가 작은 모터를 선택해서는 무의미하다. 역으로, 부하의 관성모멘트가 작을 때는 회전자 관성모멘트가 큰 모터를 사용하면 가감속에 사용되는 파워는 모터 자체만을 구동하기 위해서 소비되어버리기 때문에 응답성이 좋은 모터로 써도 무의미 하므로 목적에 맞게 선정하여야 한다. 회전자 관성모멘트는 계자를 형성하는 영구자석을 어떤 종류를 사용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영구자석의 자기특성은 감자 곡선으로 표시되는데, 잔류 자속 밀도Br, 감자력Hc, 최대 에너지 적(BH)max에 의해 그 특성을 알 수 있다.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자기회로의 공극에 축적된 에너지는, 자기 에너지 적에 비례하므로 우수한 자석은 그만큼 단위 체적당 큰 자기 에너지 적을 보유하고 있다. 그림 2.2.5는 대표적인 3종류의 자석의 자기특성을 비교한 것이다. 그림에서, 종축은 자속밀도 B, 횡축은 감자계의 강도 H로 표시된다. 또한 감자 곡선상의 자속밀도와 자화력의 적을 자기 에너지적 이라 하고, 그 최대치가 최대 에너지 적(BH)max 이고, 단위는 J/m^3 혹은 Gauss Oersted(GOe)로 표시된다. 그림에서 보듯이 희토류 자석은 페라이트 자석보다 Br, Hr값이 크다. 즉 희토류 자석을 사용한 서보모터는 같은 출력에 비해 모터 크기가 작고 따라서 회전자 크기가 작아서 기계적 시정수가 작고 파워레이트가 크다. 표 2.2.1은 페라이트 자석을 사용한 AC서보모터와 희토류 자석을 사용한 AC서보모터의 특성을 비교한 것이다. 그림 2.2.5 영구자석의 감자 곡선 | ||||||||||||||||||||||||||||||||||||
| ||||||||||||||||||||||||||||||||||||
표 2.2.1 페라이트 자석 및 희토류 자석 서보모터 특성 비교(300w급) | ||||||||||||||||||||||||||||||||||||
|
출처 : 최뿔따구의 스토리
글쓴이 : Young2 원글보기
메모 :
'대신에너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발전소 보일러의 종류와 특징 (0) | 2013.10.28 |
---|---|
전문용어 규소강판 (0) | 2013.10.06 |
[스크랩] 발전기나 모터에는 왜 규소강판이 필요한가.. (0) | 2013.10.06 |
[스크랩] 서보모터(servo motor)의 정의 (0) | 2013.10.02 |
[스크랩] 무공해, ‘전기 오토바이’ 제품 인기 (0) | 2013.09.29 |